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0

▷(PIR 지수) 소득대비 주택가격 비율, PIR지수에 대해서 알아보자 주택 가격의 적정성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로 PIR, RIR, HAI가 있습니다. 순서대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그중에서 오늘은 PIR 지수에 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IR 지수란? PIR은 Price Income Ratio의 약자로 우리나라의 소득대비 주택가격 비율을 말합니다. 현재 집값이 적정한지를 평가하는 지수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중에서 PIR이 의미하는 수치는 가구의 연평균 소득으로 주택을 사는데 얼마나 시간이 걸리는지를 측정하는 지수입니다. 만약에 연 평균 소득이 5,000만원이고 집값이 10억이라면 PIR은 20이 됩니다. 즉, 가구의 연평균 소득으로 20년을 모아야지 대출 없이 자력으로 집을 살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PIR 지.. 2020. 6. 18.
▷(임대주택) LH 청년 전세임대주택과 청년 매입임대주택 조건 및 차이점 오늘은 청년임대주택 자격 조건과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전국 대상으로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서 진행하는 2가지 사업인 청년 전세임대주택과 청년 매입임대주택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여기서 청년 나이 기준은 사업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대다수의 경우가 만 19세~만 39세에 해당합니다. 역세권 청년 주택으로 불리는 사업은 서울시 주택도시공사(SH)에서 사업을 진행하고 있어서 조금 내용이 다릅니다. 만약 청년 전세 및 매입 임대주택을 들어가고 싶으면 앞으로 LH 홈페이지를 자주 방문하여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LH 청년 전세임대주택 신청 가능 대상자 : 본인이 신청일 현재 본인이 사업대상지역내 무주택자이고 만 19세 이상 39세 이하 해당하는 청년 ‘전세 임대’라서 방을 빌려주는 것 같지만, 사실은.. 2020. 6. 2.
▶ <미국 경제성장률(GDP) 전망> 2020년 역대 최악의 경제성장률 전망 미국 2020년 1분기 경제성장률이 -4.8%를 기록하면서 2014년 -1.1% 이후 6년 만에 마이너스를 기록하였고 글로벌 금융위기인 2008년 4분기 -8.4% 이후 최악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로써 '경기 침체(Recession·침체)의 공포’ 가시화되고 있습니다. 세계 최대 경제 대국인 미국의 경기가 회복되려면 내년 말까지 기다려야 한다는 전망도 제시되고 있습니다. 경기 침체가 확산되면 고통스러운 시간을 감내해야 하며 주 교역국으로 두고 있는 한국 경제도 어려움이 많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두 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할 경우, 통상 기술적 경기 침체로 분류됩니다. 2분기 역시 마이너스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미국 경기가 침체 길목에 들어섰을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2020년 2분기 경제.. 2020. 5. 26.
▶ <중국 슈퍼 부양책> 2020년 중국 경제성장률 목표치는? 중국은 현재의 플러스 연간 경제성장 흐름을 지속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중국 경제성장률은 2013년 7.8%에서 지난해 6.1%까지 매년 낮아지고 있으며 2020년에는 1%대까지 떨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난 1분기 경제성장률은 전년 동기 대비 -6.8%로 중국은 문화 대혁명 마지막 해인 1976년 이후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경험하게 되었습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2020년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1.2%에 그칠 것으로 전망하였으며 블룸버그통신은 2020년 경제성장률 목표치를 2%를 내다봤습니다. 하지만 중국은 이번 양회에서 2020년 경제성장률 목표를 설정하지 않았습니다. 목표치 제시를 포기한 건 신중국 건국 이래 처음인데 코로나19 충격에 .. 2020. 5. 25.
▶ <미국 실업율> 미국 4월 실업율 14.7%기록, 체감 실업률 20% 이상 이번 코로나19 사태로 미국 고용시장에서 무려 2천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졌고, 실업률은 역대 최대폭인 10% 포인트 이상 치솟았습니다. 이번 충격과 비교 가능한 유일한 시기는 1930년대 대공황 당시라고 뉴욕타임스(NYT)는 평가하였습니다. 8일(현지 시간) 미 노동부가 발표한 `4월 고용보고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의 일자리 충격을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첫 공식지표로 `완전 고용`을 자랑했던 미국의 일자리 시장은 급격하게 하락하였습니다. 실업자의 대부분이 `일시 해고` 상태라는 점은 그나마 `V자형` 일자리 회복을 기대할 수 있는 대목으로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되는 대로 상당 부분 일터로 복귀하지 않겠느냐는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4월 비농업 일자리가 2.. 2020. 5. 11.
▶ <한국경제성장률> 한국은행 2020년 한국 경제 성장률 0% 전망 금일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올해 경제성장률이 0%대로 떨어질 수 있음을 시사하였습니다.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금융통화위원회를 마친 뒤 인터넷을 통한 생중계 기자간담회를 열고 올해 세계와 국내 경제는 전적으로 코로나19 진행에 달려있다며 경제성장률이 1%대로 가는 것이 쉽지 않아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0% 대가 되느냐 1% 대가 되느냐는 결국 코로나19 진행에 따라 가변적일 것으로 밝혔습니다. 이미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에 대해서 기관이나 투자은행(IB)은 대부분 마이너스 성장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은행은 일단 플러스 성장은 가능하다고 예상치를 내 놓았습니다. 하지만 한국경제연구원의 경우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을 -2.3%로 전망하며 외환위기 이후 최저치를 기록할.. 2020. 4. 10.
▷(미국 제조업 지수) 엠파이어 스테이트 제조업지수란, 지수 보는 곳은? 엠파이어 스테이트 제조업 지수(Empire State Manufacturing Index)는 미국 제조업 경기를 나타내는 지수중 하나입니다. 현재 미국은 세계 1위 경제 대국이며 뉴욕은 바로 그런 미국 경제의 중심지입니다. 엠파이어 스테이트 제조업 지수는 뉴욕 연방준비은행(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이 발표하는 경제지표로 뉴욕주에 있는 175개 제조업체 CEO를 대상으로 기업의 사업 상태와 기대치를 포함한 사업의 여건을 조사한 수치입니다. 0을 기준으로 0 이하면 경기 위축을, 0 이상이면 경기 확장을 의미합니다. 미국 전역의 제조업 경기를 반영하는 공급관리자협회(ISM) 제조업 지수보다 먼저 발표되기 때문에 제조업 경기를 미리 가늠하는 잣대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이 지수.. 2020. 4. 7.
▶ <미국 실업자> 미국 실업자 폭증, 1000만 명 돌파 사상 최대 미국에서도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문을 닫는 사업체가 늘면서 실업자도 급증하고 있습니다. 캘리포니아, 뉴욕 등 주요 주는 지난달 중순부터 필수 업종을 제외한 모든 사업체에 일시 영업 폐쇄 조치를 내렸습니다. 그 영향으로 미국 노동부는 3월 넷째 주(22~28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664만 8000건으로 집계됐다고 2일 발표했습니다. 직전 주인 3월 셋째 주(15∼21일)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기존에 발표한 328만 3000건에서 2만 4000건 늘어난 330만 7000건으로 정정하였습니다. 3월 넷째 주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2주 전의 28만여 건과 비교하면 25배나 불어난 수입니다. 이 수치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주간 실업수당 청구 건수 최대치(65만 건)보다도 10배 이상.. 2020. 4. 6.
▶ <전기차 배터리> 한국 전기차 배터리 글로벌 시장 점유율 40% 돌파, 국내 3사 수주 현황 국내 3사(LG화학, 삼성SDI, SK이노베이션)의 전 세계 배터리 시장 점유율이 처음으로 40%를 넘은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조사 SNE리서치에 따르면 지난달 LG화학 배터리 사용량은 1.7 GWh(기가와트 시)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배 이상 증가하며 글로벌 점유율 29.6%로 지난해 3위에서 이번엔 2위로 순위가 올랐습니다. 또한 삼성SDI는 372 MWh(메가와트 시)로 6.5%, SK이노베이션은 342 MWh로 5.9%를 차지하였습니다. 두 회사 순위는 각각 5위와 6위로 두세 계단씩 뛰어올랐습니다. 3위와 4위는 CATL, AESC로 각각 9.4%, 7.7%의 점유율을 기록했습니다. 2월 기준으로 전 세계 전기차 배터리 에너지 총량은 5.8 GWh로 지난해보다 16... 2020. 4. 3.